고금리, 고물가, 고세금이라는 삼중고에도 불구하고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뜨겁다.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얼어 죽어도 신축’을 고집하는 이른바 ‘얼죽신’ 트렌드가 더욱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특히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되면서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까지 신축 단지로 몰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1월~2025년 1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수도권 내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매매가격은 3.09% 상승하며 모든 연차 단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5~10년 이하는 2.86%, 10~15년 이하는 2.26%, 20년 이상 노후 단지는 1.77% 상승에 그쳐, 신축 선호가 더욱 뚜렷해졌음을 보여준다.
청약 시장에서도 이 같은 흐름은 명확하다. 부동산R114가 분석한 2023년 경기·인천 지역 청약 단지 자료에 따르면, 분양가 6억 원 이하 단지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33.32대 1로 나타났다. 이는 6억 원 초과 단지의 평균 경쟁률(26.20대 1)보다 높은 수치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신축 아파트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가운데 김포시 고촌읍 신곡6지구에 들어서는 ‘고촌센트럴자이’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단지는 ▲신축 프리미엄 ▲합리적인 분양가 ▲교육 특화 입지라는 ‘트리플 프리미엄’을 내세워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계약금 5%, 잔금 95% 조건으로 공급 중이며, 회사 대출을 활용하면 약 1억 원대 실입주가 가능해 자금 부담을 크게 낮췄다. 선착순 계약이 시작되자 실거주자뿐 아니라 투자 수요까지 빠르게 몰리고 있다는 게 현장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한 고촌읍은 ‘농어촌 특별전형’ 대상 지역으로, 자녀 교육을 중시하는 학부모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서울 강서구 및 목동 학원가와 차량으로 약 30분 거리에 위치해 학군 접근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전세금 상승, 공급 부족 등의 요인이 맞물리면서 부동산 시장에 다시 활기가 돌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신축 아파트 중에서도 가격과 입지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단지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서울 인접 지역 중 1억 원대 분양가가 형성된 고촌은 실거주와 투자 모두를 고려할 수 있는 드문 입지”라며, ‘고촌 센트럴자이’는 ‘얼죽신’ 트렌드를 선도하는 핵심 단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김포 풍무 롯데캐슬 시그니처, 부평구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 아파트 등이 고분양가로 공급되면서, 합리적인 가격을 갖춘 ‘고촌센트럴자이’의 매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